전체 글
-
1920년대 항일독립운동한국사 2024. 3. 14. 18:25
1920년대 일어난 항일독립운동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무장독립투쟁과 학생운동으로 나누어 알아보겠습니다. 항일독립운동 중 무장독립투쟁 항일독립운동은 민족주의 사명 아래 국내 진공을 목적으로 3.1 운동 이후 이주 조선 동포사회를 기반으로 성장한 서북간도와 노령의 수많은 항일독립단체들이 압록강과 두만강을 중심으로 한 지역에서 격렬한 무장독립투쟁을 벌였습니다. 동북만주에는 김좌진의 북로군정서군, 홍범도의 대한독립군, 대한정의군정사, 광복단, 의군부가 있었습니다. 남만주에는 서로군정서군, 한말 의병장 중심의 대한독립단, 신민회의 독립군 기지 건설운동의 성과를 바탕으로 하였습니다. 일본은 대규모의 군대를 이끌고 국경 지역에서 무장독립투쟁을 하는 항일독립단체를 공격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대표적인 무장독립투쟁..
-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등장과 변화한국사 2024. 3. 13. 20:04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등장과 배경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3.1 운동 이후 일본의 대한제국 침략과 식민통치에 반대하여 국내외에서 항일독립운동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습니다. 정부수립의 필요성을 느낀 한국은 국내는 한성정부, 상해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연해주는 대한국민의회가 수립되었습니다. 이에 보다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독립운동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임시정부를 통합하게 되고 임시정부의 위치에 대한 논의가 나타났습니다. 연해주와 상해 측이 합의하여 상해정부가 한성정부 법통을 계승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 통일 정부 수립 운동으로 대통령 중심제의 3권 분립에 입각한 민주공화제 정부를 수립하였습니다. 대한민국 임시헌법을 제정하여 '대한민국'이라는 국호 아래 대통령제..
-
1910년대의 독립운동과 3·1 운동한국사 2024. 3. 11. 22:05
1910년대 일제강점기에 나타난 독립운동과 3·1 운동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910년대 국내 독립운동 단체 1910년대 국내 독립운동 단체는 독립의군부, 대한광복군(광복회), 조선국권회복단 중앙총부, 조선국민회, 조선산직장려회, 자립단, 송죽회 등이 있습니다. 독립의군부는 1912년 임병찬이 고종의 밀서를 받아 조직하기 시작해 1913년 의병잔존 세력과 유생들을 호남지방에서 규합하여 조직하였고, 1914년에 조직을 전국적으로 확대하였습니다. 일본의 총리대신과 조선총독 등에게 국권반환요구서를 제출하는 등 일본 통치에 항거하며 국권회복운동을 전개하였습니다. 그러나 1914년 5월 일본 경찰에 적발되어 국권회복운동이 실패하고 임병찬은 거문도에서 순국하였습니다. 대한광복군(광복회)은 1913년 채기중..
-
일제강점기 문화통치, 병참기지화 정책, 민족말살통치한국사 2024. 3. 10. 22:30
이어 1920년에서 1940년대의 일제강점기 시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920년대 일제강점기의 문화통치 1920년대 문화통치는 일본이 3·1 운동 이후 강압적인 무단통치의 한계를 심각하게 인식하기 시작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사이토 마코토의 파견을 시작으로 종개의 강압 통치에서 회유 통치로 방향성이 바뀌었습니다. 문화통치의 내용을 살펴보면, 헌병경찰제를 보통경찰제로 전환하여 경찰 업무와 군사 업무를 분리하였습니다. 언론, 출판, 집회, 결사의 자유가 일부 허용되어 , 등의 조선인 신문이 발간되고, 여러 사회단체가 결성되었습니다. 한국인에 대한 교육 기회도 확대되었으며, 지방자치제 실시로 어느 정도의 자치를 허용하였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문화통치는 이전에 비해 경찰 수가 3배 증가하였으며, 반일운동을 효..
-
일제강점기의 국권침탈 전개과정과 무단통치한국사 2024. 3. 9. 13:41
일제 강점기의 국권침탈 전개과정과 무단통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제강점기 국권침탈 전개과정 1. 제1차 영일동맹은 삼국간섭 이후 적극적인 남하정책 추진으로 위기를 느낀 일본이 이를 견제하기 위하여 1902년에 영국과 동맹을 체결하였습니다. 일본이 청에서의 영국의 이권을 인정하였으며, 영국은 일본의 한국에 대한 특수 권익을 승인하였습니다. 일본, 영국, 미국 세 나라는 만주에서 철수할 것을 요구하였습니다. 2. 한일의정서는 한반도를 둘러싸고 1904년 일본은 미국, 영국 등의 지원을 받으면서 전쟁을 일으키게 되고 대한제국 정부는 국외중립을 선언하게 되지만 일본은 조선의 중립화를 무시하고 강제로 체결한 의정서였습니다. 한일의정서에는 일본에 군사적으로 중요한 지역을 제공하고 제 3국과의 조약을 맺을..
-
아관파천과 대한제국 수립한국사 2024. 3. 9. 00:16
조선에서는 명성황후 시해 사건 즉 을미사변으로 인해 반일감정이 매우 높았으며, 전국적으로 의병이 봉기하였습니다. 한편 고종은 1896년 2월부터 1897년 2월까지 아관파천을 단행하게 되었습니다. 아관파천과 그 후 대한제국 수립까지 있었던 자주독립운동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관파천 아관파천은 이범진이 베베르와 공모하여 단행하였습니다. 그 후 친러 내각이 수립되고 김홍집과 어윤중이 민중에 의해 살해되고 유길준은 일본으로 망명하였습니다. 박정양, 이완용, 윤치호, 이범진 등을 중심으로 한 정동파 내각이 출범하자 일본의 세력이 약해지면서 다른 나라의 열강의 이권 침탈이 심해졌으며, 단발령 중지, 잡세 탕감, 을미의병의 해산을 권고하였습니다. 고종은 아관파천을 단행하게 되고 이후 열강의 내정간섭이 심화..
-
갑오개혁한국사 2024. 3. 8. 12:30
갑오개혁은 1984년에서 1985년도에 추진되었습니다. 동학농민운동을 통해 신분제 폐지와 토지 제도 개혁 등의 농민들의 혁신적인 개혁 요구 바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청일전쟁이 일본의 승리로 끝나자 이후 일본의 정치적 간섭과 경제적 침투가 심화하였습니다. 일본에 망명 중이던 개화파가 조선으로 다시 돌아오면서 일본식의 근대적 개혁을 추진하였는데 이를 갑오개혁 또는 갑오경장이라고 합니다. 갑오개혁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차 갑오개혁과 김홍집 내각의 성립 1차 갑오개혁의 배경을 살펴보면 청일전쟁 이후 일본의 정치적 간섭과 경제적 침투가 심화되자 동학농민운동을 통해 농민들의 혁신적인 개혁을 하자, 이에 일본은 무력으로 민씨 세력을 몰아내고 흥선대원군을 앞세워 경복궁을 점령하여 김홍집을 내각의 중..
-
조선 후기 동학농민운동한국사 2024. 3. 8. 09:23
1882년 이후 임오군란과 갑신정변으로 인해 사회적 혼란과 삼정의 문란이 여전히 존속하는 가운데, 외국에 대한 배상금 부담 책임을 농민에게 전가시키는 등의 농민에 대한 수탈이 심화되었습니다. 동학은 제 2대 교주인 최시형의 노력으로 동학의 교세가 확장되었으며 어지러운 시기에 '인내천 사상'과 '외세배척 사상'은 농민들에게 큰 호흥을 얻게 되었습니다. 동학의 교주였던 최제우의 억울한 죽음을 밝히고 포교의 자유를 획득하고자 교조신원운동을 전개하였습니다. 동학농민운동은 처음에는 종교집회의 성격이 강하였으나, 회를 거듭할수록 탐관오리의 숙청과 일본 및 서양 세력의 축출을 주장하는 척왜양창의 모습이 강하게 나타났습니다. 동학농민운동을 시기별로 알아보겠습니다. 1기 고부민란의 시기 동학농민운동의 1기를 고부민란의 ..